모바일 앱 템플릿 사용 방법 (깃에 올린 프로젝트를 재활용)

모바일 앱 템플릿 사용 방법 (깃에 올린 프로젝트를 재활용)

- 대부분 개발 할 때에는 경험과 더불어 템플릿을 작성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어디에서나 사용될 기본 프로젝트 구조, 모듈을 미리 만들어두고 다음에 재활용 하면 개발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들어서,

먼저 가장 처음 진입하여 앱 로고 등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동 로그인 검증, 앱 설정 적용 등의 필수 선행 과정을 수행하는 스플래시 화면이 있을 것이고, 로그인 세션 처리 방식, 네트워크 등의 레포지토리 접근 처리 방식, MVVM 등의 앱 전체 구조 등은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개개인이 경험적으로 가장 생산성 높고, 안정적인 범용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저의 경우도 서버는 스프링 부트 MVC template, 클라이언트는 안드로이드 MVVM template 를 만들어 사용중인데, 이 중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미리 만들어진 템플릿을 사용하는 방법은,

1. 깃 레포지토리에서 원하는 프로젝트를 소스트리로 clone 해온다.

2. 소스트리의 해당 프로젝트 설정에서 원격 항목을 제거한다.

3. 원격 항목에서 내가 생성하려는 새로운 프로젝트의 원격 설정을 추가하거나 하지 않아도 된다.

4.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해당 프로젝트를 연다

5. 스튜디오 프로젝트 탭의 Android 를 Project 로 바꾸고, app -> java -> 프로젝트명 을 우클릭해서 refactor -> rename 을 한 후 프로젝트 명을 원하는 대로 바꾼다(프로젝트 파일명 변경)

6. app -> src -> main -> res -> values -> string.xml 에서 app_name 항목을 변경(앱 아이콘에 표시될 타이틀 변경)

7. 프로젝트 최외곽 파일중 setting.gradle 파일 안의 rootProject.name 을 변경한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내의 표시 변경)

이상으로, 기존 저장된 템플릿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개발을 수행하면 됩니다.

from http://wiserloner.tistory.com/1491 by ccl(A) rewrite - 2021-12-27 12:27:36